(ESG #3) ESG개론 2
자산운용회사는 펀드를 보유
펀드매니저는 투자의사결정, 운용책임, 애널리스트평가
종업원의 장래의 연금원천을 운용 (기업의 연금기금)
WHY & WHEN?
사회정세, 기업행동 => 발생사건 => 세계의 대응
ESG는 2006년 국련 아난 사무총장이 [책임투자원칙] (PRI)를 제창, 급속도로 확장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사회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음
- ESG의 요청이 기업경쟁력, 국제경쟁력과 직결하는 사상이 증가
- 투자가로부터의 선별재로가 되는 흐름도 강해지고 있음
- 아래는 기후변화에 의한 화산 사고가 발생하기 쉬워진 것으로 인해, 기업가치가 크게 영향을 미친 사례
WHO & WHEN?
- PRI 서명자수는 최근 가속적으로 증가. 운용자산총액은, 121.3조 달러(약1.5경엔)
- 또한, 서명자수는, 아래 2021년 3월말의 3,826사로부터 최근에는 4,909사로. (2022.4.7일 시점)
- 아래 그림은 EU에 있어서 Investment Chain을 둘러싼 참가자와 2018년 공표의 유럽 Action Plan의 개요
- 그 생각을 Base로 Sustainability에 관련한 여러가지 규칙이 설정, 시행되고 있음
- 금융청이 정하는 2개의 Code도 기업경영에 있어서 ESG의 포함, 투자선별에 있어서의 ESG 분석을 밀고 있음
WHERE?
WHAT?
환경을 포함한 Stakeholders와의 지속적인 관계(win-win 관계)가 사회의 지속성, 기업의 성장으로 연결되다
- 기업의 지속성은 환경을 포함한 Stakeholders와의 관계의 지속성을 의거
- 각 Stakeholders와의 Win-Win 관[계 구축이 중요하며, 그것이 기업가치를 좌우하게 됨
- ESG분석과 Stakeholders와의 관계 지속성을 보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음
기업가치 = Cash Flow / Risk Premium
Cash Flow :
고객 만족도 높혀서, 매출 성장
종업원 Engagement 높혀서, 높은 생산성 유지
CO2 배출량을 낮춰서 거래처와의 관계 지속
Governance 호조로 수익성 규칙이 있음
Risk Premium :
Risk Premium은 수익의 안정성, 주주로의 안심감으로 낮춤(기업가치향상요인)
=> 비지니스의 지속성이 높은 구조를 확립하고 있으면, Risk Premium은 낮춰지기 쉬움.
적극적 공시를 행하는 것도 주주로의 안심재료로.
이들의 각 항목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있는 것이 중요
유가증권보고서에 있어서 공시의 중요성에 있어서는,
[투자가의 투자 판단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인가 이난가], [기업가치로의 영향]을 판단하는 것이 있어서,
Single Materiality, Double Materiality 라고 하는 2차원으로 한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H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