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S - 2023 Winter/Top 기업가와의 대화
(기업가 #5) 세계의 경영학에서 보는 지금 일본은 Doer 예비군으로의 시선
fastcho
2023. 12. 25. 21:55
반응형
세계 공통의 비지니스 프로토콜
- 영어
- 프로그래밍
- 수학
- 표정
사업환경의 변화 | 디지털 파괴 |
- 코로나 - 국제정세 - 자원고 - 엔저 - 기후변동 - SDGs - 해외 투자가 - 인재부족 - 젊은이는 벤처로 |
- AI - Cloud - X테크 - IOT - Web3.0 - NFT - DAO - 양자 컴퓨팅 - 위성 데이터 |
그럼 왜, 지금까지 변화하지 않았던 것인가?
- 경로 의존성
* Diversity : 동일인재
경로의존성을 파괴할건지
제로부터 만들건지
종신고용은 경영을 망치는 구조
이노베이션의 본질 : 지식과 지식의 조합
"Development in our sense is then defined by the carrying out of new combinations"
"우리가 생각하는 발전은 새로운 조합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이노베이션의 최중요 이론 : Ambidexterity (양손잡이 경영) J.March(1991)
Exploration (지식 탐색)
Exploitation (지식 심화)
발생력은, 이동거리에 비례한다
위화감을 즐겨라
나루호도!
성공은 운이 아니다
Sense Making 이론 (Weick, 1995)
정확성 (Accuracy) < 납득성 (Plausibility)
SECI Model
언어가 발상을 규정한다.
Sense Making 이론 자신이 하고 싶은 미래, 망상으로의 배고픔 |
|
SECI Model |
정리
- 경로의존성을 파괴하라
- 지식의 탐색
1) 개인 수준 : 발상력은 이동거리에 비례한다
2) 개인 수준 : 실패는 학습의 기회
3) 조직 수준 : 위화감을 즐겨라, 나루호도!
4) 인맥 수준 : H형 인재, 인맥은 전략
5) 조직 개인 수준 : 변화의 습관화
- Sense Making, SECI Model
* 배고픔, 언어화
- 우선은 행동, 숫자를 쳐라
Vision (동사)
Value (형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