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대사업자

[2025년] 오피스텔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홈택스 셀프 신고 | 일반 과세 부가세 신고 | 세금비서 서비스로 5분만에 신고하기 

by fastcho 2025. 1. 21.
반응형

홈택스 접속 → 사업장전환

일반적으로는 법인이 아닌 개인사업자로 등록하기 때문에 개인인증서로 로그인 후에 사업장을 선택한다. 

 

 

임대사업자에 해당하는 사업자번호를 선택하고 사업자로 변경하기를 클릭한다. 

 

 

정기확정신고

 

 

막간을 이용해서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면, 부가세는 1~6월을 1기, 7~12월을 2기라고 한다. 

1~3월을 예정, 4~6월을 확정기간이라고 하며, 동일하게 7~9월을 예정, 10~12월을 확정기간이라고 한다. 

 

나같이 매출이 적은 소시민은 7~12월에 대한 기간을 한번에 신고하게 되며, 이번 신고기간을 2021년 2기 확정 부가가치세 신고라고 한다. 

 

 

신고서 작성하기

본격적으로 신고서를 작성해보자. 

사업자등록번호 확인을 누르면 기본정보가 자동으로 끌려온다. 쏘 심플

이후 저장 후 다음이동

 

 

 

세금비서 서비스가 있다고 하니 한번 써보자

 

어디 한 번 해보거라

 

 

부동산 임대 공급가액 명세서

여기서부터 좀 귀찮아지는데..

화면을 최대한 크게 해야지 두개가 같이 보인다

[부동산 임대 공급가액 명세서] 작성이다. 

기존 임차인 정보가 있는데 나는 갱신이 있어서 수정이 필요하다

 

 

임차인조회로 기존 임차인을 불러오기 하니까 기본 정보가 다 채워졌다

아쉽게도 떠나신 분이라서 퇴거 기준으로 신고서를 작성했다 

재미난점은 부가세신고는 6개월 기준이니까 입주일은 2024년 7월 1일로 되어있는 점이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자동계산으로 할 경우 실제 내가 받은 임대료랑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꼭 자동계산된 것과 내가 받은 임대료랑 같은지 확인하고 아닐 경우 수기로 수정해야한다. 

보증금이자는 뭐 알아서 잘 계산되었겠거니 하고..

 

다행히 새로운 분이 들어오셔서 신규로 계약할 수 있었다 

 

 

 

별 문제없이 2명의 임차인 정보가 입력되었다 

 

매출세액

다음은 세금계산서 정보인데 다행히 6개월간 착실히 발행해왔다 

 

종이 세금계산서 / 신용카드 매출전표 / 현금영수증은  패스 

 

보증금 이자가 붙어서 매출에 그만큼 세금이 늘어나는건 어쩔수 없다 

 

과세표준명세 즉 매출을 얼마 일으켰는지는 그냥 나온 숫자 그대로 적어도 된다. 

 

매입세액

다음은 매입세금계산서인데.. 딱히 매입할 것도 없다.. 

그래서 패스.. 

 

 

현금영수증 들어온게 하나 있는데 이건 아마도 부동산에서 발급해준걸로 보인다 

 

 

세액공제

전자신고라서 1만원, 세금계산서는 건당 200원이라서 총 6개월치 1,200원 세액공제다

 

 

최종 납부할 세액

요로코롱 최종 납부할 세액이 나왔다

 

신고 완료!

 

 

납부하기

 

지방세 납부는 무이자할부로 하는 편이다. 

그러나 국세는 충격적이게도 신용카드로 납부하면 0.8%의 수수료를 부과당한다. 

 

대충 계산을 해보니까, 세금이 100만원이라고 하면, 수수료는 8,000원

만약에 내가 100만원을 7개월 무이자로 납부한다고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자는 5,640원 밖에 안된다.  

(토스뱅크 2%, 세후기준)

 

무려 2,360원 손해니 계좌이체로 쿨하게 납부하자. 

 

이렇게 임대사업자의 부가세 신고는 끝났다. 

쉬울거 같으면서 은근히 중간에 까리한 부분이 있으니 다들 까먹지 말고 신고 완료하즈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