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BS - 2023 Summer/Fintech 금융혁신과 Internet

(Fintech W-IOI #5-6) Internet의 특징 | Internet의 Governance

by fastcho 2023. 6. 7.
반응형

집중(Centralized), 분권(Decentrailized), 분산(Distributed)

 

  • 통신기술은 신경쓰지 않는다
    • 위성을 거치던, 지상을 거치던, 관계 없다
    • 전서비둘기라도 좋아 ㅋ
      • RFC 1149 (A Standard for the Transmission of IP Datagrams on Avian Carriers)
    • 통신기술로서 좋은 것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한다
      •  IP over Everything

Internet은 신경쓰지 않는다

 

 

  • 가장 밑에서 생각하면, 강요당한다
    • 새로운 통신기술이 나와도 성장하지 않는다

Protocol Architecture (1)

 

범용 Ditigal 정보기반 (Everything over IP): Digital 정보가 어디서도 이런 식으로 사용된다

Protocol Architecture (2)

  • 아래는 뭐라도 괜찮아 (IP over Everything)
    • 새로운 통신기술이 나올 때, 건강하게 발전해간다

 

  • IP를 쓰는 Programmer가 세계이 몇명 있는지, router가 어느정도 고속이 되는지
    • 어려우면 움직이지 않음
    • 어려우면 느려짐
    • 간단한 것이 정말 중요
  • Address를 고정길이가 아닌 가변길이로 하는 등, 더욱 Smart한 설계를 선택해가면,
    Internet의 발전은 늦었을 수도
    • IPv4 (version 4)는 고정길이 32-bit IP Address를 사용함
    • IPv6 (version 6)은 고정길이 128-bit IP Address를 사용함

IP는 왜 단순한가

 

  • Internet은, 이론적인 Architecture이다
  • ... 그것은 Digital 정보를 투명성이 있는 경로로 유통시켜서, Commons의 환경을 제공하는 기반이다
  • Internet Architecture의 [열쇠]는, 선택지(alternatives)의 제공이다
  • 통신 면에서는, 복수의 Media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ternet Architecture의 특징

 

  1. Global
  2. 독립·자율 System (권위조직이 없음)과 Social성
  3. 연결되는 것이 전제
  4. 지구 상에서 유일
  5. Commons 환경의 제공
  6. 선택지의 제공
  7. 기회의 제공
  8. [대략적인 합의]와 [움직이는 것] 밖에 신용하지 않음
  9. 투명성과 End-to-End
  10. Best Effort

Internet Architecture의 10의 특성

 

  • User는
    • (1) 합법적인 정보에 자유롭게 Access 가능함
    • (2) 적법한 범위로 자유롭게 Application을 실행하여 응용 가능함
    • (3) Network에 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로 자유롭게 정보기기를 접속 가능
    • (4) Provider를 자유롭게 선택 가능
      • Network Provider, Application / Service Provider

Commons 환경 - Network 중립성

지켜야할 목표의 품질이 존재하지 않기에, 다시 말해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하여 

시장경쟁력을 획득하려는 Incentive가 생산되는 것이다. 

Best Effort

 

 

[전자 뭔가]와 산입의 용이함

 

 

 


 

Internet의 Governance

 

Internet의 의미와 Governance

 

 

  • 운전수가 신호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Control에 따르는 것이 아닌,
  • 자율적인 판단에 따라 차를 감속하여, 그 결과 교차점의 차의 흐름이 통제됨

Roundabout 순환교차로

 

 

  • ISOC (Internet Society)
    •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 ICANN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 ASO (The Address Supporting Organization)
    • GNSO (Generic Names Supporting Organization)
    • ccNSO (Country Code Names Supporting Organization)
  • 국련 UN
    • IGF (Internet Governance Forum)

Internet의 Governance 체계

 

  • Internet Technology의 과학과 발전에 공헌하고 싶은 사람들의 유연하고 자율적으로 조직된 Group
  • Internet의 표준사양을 개발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 IETF는 일반적인 조직이 아닌, 하나하나의 사건의 집합체 같은 것으로
    회사도 아니고, 임원도 존재하지 않는, 정식 Member도 없으며, 의무도 없다. 

IETF

 

  • 의사결정의 방침
    • 우리들은 왕, 대통령, 투표를 거부한다. We reject kings, presidents, and voting
    • 우리들은 대략적인 합의와 동작하는 Code(Program)을 믿는다
      We believe in rough consensus and running code
    • 연결되는 기술의 설계방침
      • 보내는 것은 보수적이며, 받는 것은 관용적이어라

IETF의 마음

  • ... Internet은 지금, 역시 어느 기로에 있다
  • 주인공이 사람인가, 아니면 더 별도의 단위인가, 동료인가, 조직인가, 국가인가 라는 것이다
  • 이 것을 자유롭게 창조하는 것이 중요하여, 기본적으로 한명한명이 잘 Internet 상의 Presence를 가져,
    각각이 지구 상의 Communication의 주인공인 것이 반드시 지켜지는 것
    그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한명 한명이 Communication의 주인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