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본 중국을 정리해보았다
일본
중국
이번엔 인도다
그냥 별 이유는 없다...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정도가 떠올라서...
이것도 미국 상장 ETF에 투자는 하고 있었다
근데 한국 ETF로 갈아타볼까 생각 중이다
그냥 내맘대로 많이 팔리는 친구를 꼽아봤다
근데 다 2023년에 만들어질 정도로 역사가 짧다
수수료는 제일 거래가 만힝 되는 친구가 제일 저렴하다
수익률이 좀 안습이긴 하다
확실히 한국 ETF는 50종목 혹은 20종목으로 너무 좁다...
INDA가 좀 넓어서 좋긴 한데
반대로 인도 주식 뭐 아는것도 없는데..
50개 정도면 충분한거 같기도 하다..
참고로 내가 정한 ETF는 일본 토픽스 100, 중국 항셍 50 정도니.. 인도도 뭐 50개 정도로..
이름은 뭐 우리가 알만한건 릴라이언스 그룹, 인포시스, 타타 ..
거의 종목은 비슷비슷하다
1년이라서 차트랄것도 없지만..
확실히 미국 상장 친구가 좀 떨어진다
달러 강세 때문인거 같다
배당도 볼건 없고..
수수료도 왠일로..
한국 상장 친구가 더 싸다.. 이런 적이 처음인가 아닌가 싶은데..
종목 수가 적어서 그런가..
암튼 이건 뭐 별 고민 없지 수수료 제일 싼 TIGER 인도니프티50으로..
심심하니 퍼플형에게
투자 추천
- 안정적인 인도 시장 노출을 원한다면: TIGER 인도니프티50 또는 KODEX 인도Nifty50
- 두 ETF의 성과가 매우 유사하지만, TIGER 인도니프티50가 약간 더 유리해 보입니다.
- 인도 소비 시장의 높은 성장을 노린다면: TIGER 인도빌리언컨슈머
- 더 높은 수익 잠재력과 함께 더 높은 변동성을 감수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더 넓은 인도 시장 노출을 원한다면: INDA
- 다만 높은 운용보수와 환율 변동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낮은 비용, 높은 유동성, 안정적인 성과를 제공하면서도 인도 시장의 성장에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