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BS - 2023 Fall/자산배분

(자산배분 #1-2) Asset Allocation의 중요성과 그 Framework

by fastcho 2023. 10. 7.
반응형

 

 

기시다 정권, '자산운용 선진국'을 목표로?

 

 

'자산운용의 나라'가 지향하는 바는?

 

 

 일본의 가계부문 자금규모(개인금융자산)는 2,115조 엔
 이 중 1,117조엔(53%)은 현금 및 예금
 일본의 예금취급기관이 모은 예금 총액은 약 1,735조엔.
 이 중 약 933조엔(예대율, 약 53%)이 대출로 돌아간다.
 일본 민간 비금융 법인기업이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린 총액은 약 487조엔
 일본 민간 비금융 법인기업 상장주식 장부가액 약 751조엔
 도쿄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약 800조엔*.
 일반 정부의 증권(채권) 발행액은 약 1,200조 엔
 그 중 국채 약 1,000조엔 지방채 약 200조엔

 

일본 금융자산-부채 잔액(2023년 6월말, 1조엔)

 

 

가계의 Asset Allocation 현황

 

 

 

 자산배분이란 주식, 채권, 부동산, 해외증권 등 '자산군'에 운용자금을 배분하는 것을 말한다.
 운용자금의 성과는 이 배분에 의해 거의 결정된다고 할 정도로 운용에서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으로 꼽힌다.

Asset Allocation이란

 

 

 연금Fund의 Return 변동 중 자산배분(Asset Allocation)으로 설명할 수 있는 비율은?

펀드 시계열 변동의 약 90%를 자산배분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Brinson, Hood, Beebower (1986) 
- 미국 91개 대형 연금기금의 1974-83년 데이터로 검증, 성과 중 93.6%가 자산배분으로 설명 가능(R2=93.6%) 

 

Brinson, Singer, Beebower (1991) 
- 미국 82개 대형 연금기금의 1978-87년 데이터로 검증, 성과의 91.5%가 자산배분으로 설명 가능함(R2=91.5%) 입증

Performance 요인 분해에 대한 실증 연구 사례(1)

 

Ibbotson and Kaplan (2000) 
- 미국의 Balance형 투신 94개 Fund(1988-98년) 및 58개 대형 연금기금(1993-98년)의 Performance 데이터로 검증한 결과, Asset Allocation은
Return의 시계열적 변동성약 90%를, 
Cross-Sectional(횡단면)적인 변동성의 약 40%를, 그리고
평균적인 Return 수준약 10%를 설명할 수 있음을 입증.

- Fund별 시계열 회귀의 설명력 설명력
- 전체 Fund에 대한 연도별 누적 Policy Return과 실제 Fund Return의 회귀분석(Cross-selection)의 설명력
- Policy Return의 평균 수준과 실제 Fund Return의 평균 수준 비교 결과

Performance 요인 분해에 대한 실증 연구 사례(1)

 

 

자산운용 - Fund Manager, Trader, Hedge Fund 운용사
- 은행, 생보사, 손보사 보유증권 Allocation
자산관리 - 연금 Plan Sponsor, 대학 기금 운영, 재단 운영
- Financial Planner, 자산운용 Consultant
재무-기업금융 - 환Hedge 전략, 최적 사업 구성, Enterprise Risk Management

자산 배분 이론의 적용 사례

 

 

 자산배분 기법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일기간 다기간
장기(3~10년 등) Policy Asset Allocation(PPA) Strategic Asset Allocation(SSA)
단기(1일~3개월 등) Tactical Asset Allocation(TTA) Dynamic Asset Allocation(DAA)

※ 본 수업에서는 Campbell-Viseira(2005)와 Brennan, Schwartz, Schwartz and Lagnado (1997)에 따라 장기적 Allocation 중 특히 다기간의 요소가 포함되는 경우를 제외하기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한 기간의 Policy Asset Allocation도 넓은 의미에서 'Strategic Asset Allocation'이라고 한다. 

Asset Allocation의 유형

 

 

각 자산 Class의 Risk, Return 및 
상관관계 계수 예측
투자자의 투자목표
(Risk 허용도, Return 목표 등)
최적의 Asset Mixs 결정
(= Asset Allocation)
Return 발생

Asset Allocation Process

 

 

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산운용의 기본이 되는 Baseline Portfolio(정책자산믹스, 기본 포트폴리오 등)를 결정하는 작업. 
 수년에 한 번 실시 
 중장기적 리스크-수익률 시나리오 추정 
 자금 규모, 유동성 니즈, 세제 등 투자자의 속성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이 중요

Policy Asset Allocation

 

 시장 변화에 따라 당장의 시장 전망치를 적극적으로 수정하고, Asset Allocation을 지속적으로 수정  
 시장의 단기적 비효율성을 상정하고, 거기서 추가 Return 창출 기회를 찾는 Approach

Tactical Asset Allocation

 

 목표 시점의 자산 규모에 대한 확률 분포의 형태를 수정하기 위해 Asset Mix를 의도적, 지속적으로 수정하는 방법
 시장이 제공하는 Risk-Return Profile을 효율적 시장의 틀 안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하는 기법 
 운용자산 규모의 변화에 따라 투자자의 위험 허용 범위가 변화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하방 Risk Hedge(Dynamic Hedge), 기본 Portfolio로의 Rebalancing 등이 포함된다.

Dynamic Asset Allocation

 

 

 장기적, 다기간적 관점에서 Asset Allocation을 결정하는 작업 
 재투자 Risk, Return의 시계열적 상관관계, 기간 내 투자 제약 등 다기간적 관점이 들어가는 것이 Point
 개인투자자의 Asset Allocation의 경우, 인적자산(Human Wealth)의 고려도 필요

Strategic Asset Allocation

 

 

 자산액이 W1이 될 확률이 50%, W2이 될 확률이 50%일 때 기대효용

확실성 등가액(Certainty Eqiuvalent)

효용함수의 예(1)

 

효용함수의 예(2)

 

 

 

자주 사용되는 효용 함수

 

Risk 회피도


 

자산 Class의 기대 Return과 Risk의 추계

 

 

 

 

Retun 분포의 예측

미래 수익률의 전체 분포를 예측하는 것이 이상적임
→ 실제로는 수익률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분포의 평균(기대 Retun)표준편차(기대 Risk)만을 예측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자산을 가정할 경우, Return이 다차원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각 자산의 평균, 표준편차 및 자산 간 상관관계 계수를 예측

 

 

평균과 표준편차

표준편차는 Risk(불확실성)을 표현하기 위해 활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척도입니다.
정규분포의 경우,
±1σ 이내가 되는 확률…68.3%
±2σ 이내가 되는 확률…95.4%
±3σ 이내가 되는 확률…99.7%

 

 

평균과 표준편차의 연률환산

예) 닛케이 평균 주가지수의 과거 월별 수익률의 평균이 1.02%, 표준편차가 4.72%라고 가정한다. 

이때 이 평균 수익률과 표준편차의 연환산 수익률은 수익률이 독립적이라고 가정했을 때이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참고)

 

 

 

 

데이터 기간 (Period)......... 과거 몇 개월, 1년, 10년, 30년?
데이터 빈도 (Frequency)...틱 데이터? 일별? 월간? 연간?
데이터 Weight.................... 등 Weight? 지수 평활화? 이상치 처리 유무?

어떤 Horizon의 Return 분포를 추정하고 싶은지, 과거 Data를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는지, 

Return 구조가 어느 정도 안정적/변동적이라고 생각하는지 등을 고려해 결정

과거 데이터를 이용한 미래 수익률 분포 추정의 Point

 

투자 Return의 다양한 관점

 

 

 

기대 Return Risk의 설정 예시

 

 Demand Side Approach (투자자가 요구하는 리스크 프리미엄에 초점을 맞춘)
    - Historical 방식
    - Building Block 방식
 Supply Side Approach(기업이 창출할 미래 수익에 주목)
 균형 Approach (자산 위험과 시장 포트폴리오 가중치에서 역산)
    - Reverse Optimization
    - Price of Risk
 기타
    - 시나리오 방법
    - 각종 설문조사

기대 Return 추계 방법의 예

 

Historical법의 예

 

 

 

Building Block법의 예시

기대수익률을 구성요소로 분해한 후 각 요소를 추정

 

 

Supply Side Approach의 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