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투자/국내상장 ETF

하락장에 강한 전세계 주식에 분산투자를 알아서 해주는 ETF | KODEX 선진국MSCI World (MSCI World Index) | RISE 글로벌주식분산액티브

by fastcho 2025. 4. 1.
반응형

미국 상장 ETF에서 전세계 분산 투자를 할 수 있지만.. 

 

하락장에 지친다면 전세계 주식을 분산해서 투자하는 ETF로 갈아타보자 | VT ACWI | FTSE Global All Cap I

아... 지겹다.. 지겹다기보다 지친다사실 얼마 안되긴 했지만..뭐랄까이미 충분히 예견되었던 일을 눈 앞에서 당하고 보니까 다시 한번 포트폴리오를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뭐 결론

fastcho.tistory.com

 

ISA에서는.. 국내 상장 ETF만 가능하다..

그래서 국내 상장 전세계 주식을 찾아보았다

환 헤지형은 제외했다 

왜냐면.. 증시가 안좋을때 환상승을 못먹으니.. 

 

 

KODEX 선진국MSCI World (MSCI World Index) 

 

이건 앞선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 처럼 선진국만 포함하는게 장점이자 단점이다 

 

 

 

 

MSCI World Index

<strong>Client Only Access</strong> - Recent market shocks have prompted institutional investors to revisit the portfolio risk.

www.msci.com

 

 

아래 파란색이 World인데 즉 선진국만 담으니까 상대적으로 상승폭은 높을 수 있으나 반대로 말하면 하락폭도 크다

그리고 중국 같은 신흥국아 안담겨있어서..

물론 그럴일은 없겠지만 혹시나 신흥국이 치고 올라 왓을 때 그 이득을 못먹는다는 가능성도 있다

 

 

선진국만 담다 보니까 미국이 73%.. 일본이 5% 영국이 4% 등등

인도 중국을 담고 싶어하는 내 바램까지는 안되어있지만..

그래도 일단 이거라도.. 라는 심정이 있긴 하다 

약간 전세계가 아니라는게 유일한 아쉬운점..

 

 

 

그래도 그나마 장점은 S&P나 나스닥을 사는 것처럼 거의 동일한 효과를 70%는 누릴 수 있겠다..

 

 

 

 

Kodex 선진국MSCI World | Kodex

Kodex ETF 상품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www.samsungfund.com

 

정말 다양한 주식을 직접 보유하는데

문득 이걸 달러자산으로 사는건지 각 현지 통화로 사는건지 궁금했는데

아마도 현지통화로 유로, 엔화등으로 사서 직접 보유하는 것 같다 

잘보면 SAP SE 같은것도 나오는거 보니.. 

 

 

 

홈페이지에서 엑셀로 보유종목을 보여주는데

일본 주식은 도요타는 0.27%, SONY 0.24% 등등..

 

 

독일주식은 SAP가 0.41%, SIEMENS가 0.25%

 

 

아래는 프랑스 주식

LVHM가 0.25%..

 

확실히 중국 인도 주식이 없긴 하다 


 

RISE 글로벌주식분산액티브

 

내가 왠만하면 ETF는 액티브는 안사는 편인데..

이건 대안이 없어서.. ㅠㅠ

 

VT 추종하는게 나오면 갈아타겠지만 일단은 이거만한게 없다 

기초지수는 Bloomberg Global Equity Market Weighted Index라고 한다 

 

 

 

 

https://assets.bbhub.io/professional/sites/10/Bloomberg-Global-Equity-Market-Weighted-Index-Methodology.pdf

 

 

이건 그냥 설명을 보는게 제일 빠른데 

미국 50%, 북미 제외 선진국 30%, 신흥국 20% 비중으로 전 세계 다양한 업종에 투자하는 ETF

 

 

미국 50%, 선진국 30%, 신흥국 20%로 밸런스가 잘 잡혀있다 

장점이자 단점으로는 미국이 50%인게 지금 시점에서는 조금 아쉽기도 하고.. ㅋㅋ

 

VEA(뱅가드 선진국 주식 ETF) : Vanguard FTSE Developed ETF

EFA(아이셰어즈 선진국 ETF) : iShares MSCI EAFE ETF

 

VWO(뱅가드 신흥국 ET) : Vangard FTSE Emerging Market 

SCHE(슈왑 신흥국 ETF) : Schwab EMRG MRKTS EQTY ETF

 

 


 

RISE 는 23년에 생겨서 비교적 최근이라 준 자산도 작다 

 

배당도 없고.. 비용도 높다

KODEX는 0.378%, RISE는 0.5363%...

 

 

비교할만한게 없어서 좀 거시기 한데..

그래도 최근 1년의 움직임을 보면 확실히 분산이 더 되어있을 수록 빠질 땐 덜 빠지는 것으로 보인다

빠지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가 덜한 걸로.. 

5년에 연간 21%면.. 후덜덜하긴 하네.. 미국 버프겟지만.. 

 

 

구성종목을 보면 KODEX는 직접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데

RISE는 ETF를 재간접 투자하고 있는 형태로 보인다 .

미국(SPY, RISE) = 49.29%

선진국(VEA, EFA) = 28.18%

개도국(VWO, EEM) = 16.7%

 

장기 시계열 비교가 불가해서..

1년만 놓고보면 확실히 RISE가 변동폭은 적지만.. 

뭐 그렇다고 크게 다르지도 않다 

 

 

배당은 RISE는 없고..

 

수수료도 좀 내려주면 하는 바램..

꽤 비싸다 ㅠ

 

 


 

 

전세계 분산은.. 

뭐.. 장기투자를 위한.. 방어장치랄까..

 

주식시장의 역사를 통해 보는 주식의 본질

<포트폴리오 시리즈> 주식을 산다는 것의 의미 인류 역사상 지금처럼 사업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

blog.naver.com

 

 

 

 

미국이 전세계 60%를 차지하는 날이 와서 그런거지..

이게 비중이 조절되면.. 잘 알아서 조절되기만을 바랄뿐이다..

반응형